본문 바로가기

git 커밋하지 않은 변경사항 제거2

git restore 변경사항 스테이징 취소하기 git restore --staged "파일명" 명령어로 스테이징 된 파일을 취소할 수 있다. git status 명령어를 치면 (use "git restore --staged ..." to unstage) 이러한 메시지가 나오기 때문에 외울 필요가 없다. 실수로 스테이징 되었을 때 취소시키거나 여러 개의 파일을 스테이징 해야 되고 한두 개 파일을 제외하고 싶을 때 git add . 명령어로 추가하고 git restore --staged "파일명" 명령어로 제외하는 게 더 효율적 일 것 같다. 파일 생성 파일 수정 git restore 변경사항 스테이징 취소하기 결론 스테이징으로 커밋 단위를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서 알아야 할 명령어인 것 같다. 2023. 2. 6.
git restore로 수정사항 취소하기 git restore "파일명" 명령어를 사용하면 수정한 내용이 취소되면서 최신 커밋 내용으로 복구된다. git restore --source HEAD~"숫자" "파일명" 명령어를 사용하면 HEAD를 기준으로 원하는 커밋을 선택해서 해당 내용으로 변경할 수 있는데 HEAD가 같이 이동하는 건 아니고 내용만 변경이 된다. 그리고 git restore --source "commit-head" "파일명" 명령어를 사용해도 똑같은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내용 추가 및 커밋 내용 수정 및 복구 결론 git checkout 명령어로 수정사항을 취소하는 것보다 git restore 명령어로 하는 게 훨씬 더 직관적이고 기억하기가 편하기 때문에 git restore 명령어를 사용하는 게 더 좋은 것 같다. 2023.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