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 diff4

git diff 명령어로 commit 비교하기 git diff "commit1".."commit2" 또는 git diff "commit1" "commit2" 명령어로 commit에 따라 파일을 비교할 수 있다. commit의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 git diff 명령어로 commit 비교하기 git diff "commit1".."commit2" 또는 git diff "commit1" "commit2" 취향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다. 2023. 1. 29.
git diff 명령어로 브랜치 비교하기 git diff "브랜치".."브랜치" 또는 git diff "브랜치" "브랜치" 명령어로 다른 브랜치와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명령어를 사용할 때 브랜치의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오니 순서에 신경 써서 입력해야 되겠다. git diff 명령어로 브랜치 비교하기 git diff "브랜치".."브랜치" 또는 git diff "브랜치" "브랜치"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순서에 따라 결과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취향에 따라 둘 중에 하나 선택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다. 2023. 1. 28.
git diff 명령어로 특정 파일 비교하기 git diff HEAD "파일명" 명령어로 최근에 commit 한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파일만 수정된 내용을 비교할 수 있다. 파일이 여러 개 수정되었을 때 git diff HEAD만 사용하면 헷갈릴 수 있는데 원하는 파일만 비교하려고 할 때 사용하면 될 것 같다. git diff 명령어로 특정 파일 비교하기 git diff HEAD "파일명 파일명" 공백을 기준으로 파일을 추가하면 여러 개의 원하는 파일만 비교해 볼 수 있다. 2023. 1. 27.
git diff 명령어 git diff 명령어로 파일을 수정하고 어디를 수정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파일의 여러 군데를 수정하다 보면은 실수로 수정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을 수정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staging area에 올리고 commit을 하기 전에 습관적으로 diff로 확인하는 게 좋은 것 같다. git diff 명령어 ---a /a.txt는 수정되기 전 파일을 의미하고 +++b/a.txt는 수정한 후의 파일을 의미한다. 즉 빨간색 -hello는 이 전 파일의 내용이 hello로 였다는 의미이고 초록색 +hello world는 수정한 후의 파일의 내용이 hello world라는 의미이다. 2023.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