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설정2

git init 과 git status Git으로 폴더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초기설정 작업이 필요한데 git init과 git status 명령어를 통해서 작업환경을 세팅하고 확인할 수 있다. Git을 처음 세팅한다면 필수로 알아야 될 명령어이니 확실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git init 설정하기 전 상태 git init을 설정하지않고 git stauts명령어를 실행하면 git 저장소가 없다고 나오고 ls -a를 통해서 git설정파일도 생기지 않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git init 설정한 상태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 저장소가 초기화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오고 ls -a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하면. git 설정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git status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git init이 설정된 폴더.. 2023. 1. 13.
Git 이름 및 이메일 설정하기 Git을 처음 설치하고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해야 된다. 협업 시 log에 누가 어떤 작업을 했고 체크포인트와 변화를 만든 사람이 누군지 알기 위해서이다. 개발자로 알려지고 싶은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해서 Git작업을 시작해보자. Git 이름 설정하기 git-bash를 실행하고 git config --global user.name "작명"을 하면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할 수 있고 git config user.name 명령어로 설정된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틀려도 다시 설정하면 돼서 걱정할 필요는 없다. Git 이메일 설정하기 git-bash를 실행하고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작명"을 하면 이메일을 설정할 수 있고 git config user.email 명령어로 설정된 이메일.. 2023.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