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Git60 github에 호스팅 하는 방법 github를 사용해서 무료로 정적 웹사이트를 호스팅 할 수 있습니다. 서버 설정 없이 파일을 업로드하고 github pages 설정을 하면 url이 생성이 되고 클릭을 하면 호스팅 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github repo 생성하기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눌러서 github repo를 생성합니다. index.html 파일 업로드 하기 My website git init git add index.html git commit -m "add index.html" git branch -M main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아이디/test.git git push -u origin main index.html 파일을 생성하고 github repo에 .. 2023. 3. 1. git pull git pull 명령어는 원격 저장소에서 변경된 내용을 가져와서 현재 로컬 브랜치에 병합하는 명령어입니다. git fetch와 git merge 명령어를 하나로 합친 것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git pull 명령어를 사용하면 로컬 저장소의 변경사항과 원격 저장소의 변경사항을 자동으로 병합해주므로,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의 동기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git pull 명령어는 자동으로 병합을 수행하기 때문에, 병합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돌을 해결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git fetch와 git merge 명령어를 각각 사용하여 수동으로 병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법 git pull [옵션] [원격 저장소] [브랜치] [원격 .. 2023. 2. 24. git fetch Git fetch는 원격 저장소의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와 로컬 저장소와 동기화하는 Git 명령어입니다. Git fetch를 실행하면 로컬 저장소에는 원격 저장소의 최신 변경 사항이 다운로드되어 있지만, 이것을 로컬 브랜치에 병합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로컬 브랜치에 원격 저장소의 최신 변경 사항을 병합하려면 git merge나 git rebase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법 git fetch git fetch 여기서 는 가져올 원격 저장소의 이름입니다. 기본적으로 Git은 원격 저장소를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설정합니다. 를 입력하면 단 하나의 브랜치만을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Git fetch는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간의 변경 사항을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다른 개.. 2023. 2. 22. git switch 명령어로 원격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를 가져오는 방법 Git에서 브랜치를 가져오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이 중 git switch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git switch 명령어는 Git 2.23 버전부터 새롭게 추가된 명령어로, 이전에 사용되던 git checkout 명령어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git switch 명령어를 사용하여 원격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를 가져오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원격 저장소 확인 먼저, git remote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로컬 저장소에 등록된 원격 저장소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git remote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등록된 원격 저장소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격 브랜치 확인 다음으로, git branch -r 명령어를 사용하여 원격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를 확인합니다. git.. 2023. 2. 22. Git에서 원격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를 확인하는 방법 Git에서 원격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git branch -r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 이 명령어는 현재 로컬 저장소와 연결된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목록을 보여줍니다. -r 옵션을 사용하여 원격 브랜치만을 보여줍니다.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면 "origin/브랜치이름" 형태로 나타납니다. git ls-remote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 이 명령어는 원격 저장소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면 원격 저장소의 각 브랜치의 정보와 해당 브랜치의 해시값을 보여줍니다. "refs/heads/브랜치이름" 형태로 나타납니다. 위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원격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 2. 21. Github란? GitHub는 Git을 기반으로 한 코드 호스팅 플랫폼입니다. 개발자들은 GitHub을 이용하여 자신의 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고, 다른 개발자들과 협업하며,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GitHub는 Git을 이용해 버전 관리를 하며, 이를 통해 코드의 변경 이력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GitHub에서는 Git 저장소를 만들고, 다른 개발자들이 이 저장소에 대해 변경 내용을 제안하거나, 버그를 신고하거나, 기능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이슈(issue)라는 형태로 저장소에 등록되며, 다른 개발자들은 이 이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해결 방법을 제안하며, 코드를 수정하여 이슈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GitHub는 오픈소스 개발에 매우 적합한 플랫폼입니다. 개발자들은 GitHu.. 2023. 2. 17. Git 이란? Git은 버전 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의 하나로, 소스 코드와 같은 파일의 변경 내용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Git을 사용하면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다른 사람들과 협업할 때 여러 버전의 코드를 유지 관리하고, 변경 이력을 추적하며, 변경 내용을 비교하고 병합할 수 있습니다. Git은 크게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 소스 코드나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입니다. 이 디렉토리에서 변경된 내용을 추적하기 위해 Git이 사용됩니다.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 : 작업 디렉토리에서 변경된 내용 중에서 버전 관리 시스템에 포함시키기로 한 내용을 준비하는 곳입니다.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으로 추가하는 .. 2023. 2. 17. git push -u 옵션 의미 git push 명령어를 사용할 때 -u 옵션을 주면 업 스트림 설정이 되어서 다음 명령어부터는 git push만 입력을 해도 해당 브랜치로 업로드가 된다. 즉 -u 옵션으로 처음에 한 번만 설정을 해두면 다음부터는 명령어가 짧아지기 때문에 유용한 옵션이다. 참고로 업 스트림은 github 브랜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할 때 내가 어디 브랜치에 있는지를 기준으로 설정을 하는 거라서 현재 브랜치를 확인하고 사용해야 한다. 사용법 git push -u 첫 번째 push 명령어 일 때 업 스트림을 설정하고 두 번째 push 명령어부터는 git push만 입력을 해도 push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 2023. 2. 16.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