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Linux42 리눅스 표준 출력의 리다이렉션(redirection) 리다이렉션 기능은 화면에 출력 되는 내용을 파일에 출력을 할 수 있습니다. 파일에 출력을 하면 명령어의 출력 결과가 파일에 저장이 되면서 생성이 됩니다. 사용법 user@user-virtual-machine:~$ echo "hello" > greeting.txt user@user-virtual-machine:~$ cat greeting.txt hello user@user-virtual-machine:~$ echo "hi" > greeting.txt user@user-virtual-machine:~$ cat greeting.txt hi >를 사용하면 파일이 없을 때 생성되면서 내용이 저장되지만 파일이 있을 때는 내용을 덮어쓰게 됩니다. user@user-virtual-machine:~$ echo "hell.. 2023. 3. 27. 파일의 내용을 정렬하기 - 리눅스 sort 명령어 리눅스 sort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정렬하는 기능입니다. 문자는 기본적으로 알파벳 순서로 정렬이 되고 소문자가 먼저 나옵니다. 숫자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자리수 비교를 해서 정렬하기 때문에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n 옵션을 사용해야 됩니다. 문자 정렬 user@user-virtual-machine:~$ sort alphabet.txt a A b B c C user@user-virtual-machine:~$ sort -r alphabet.txt C c B b A a user@user-virtual-machine:~$ cat animal.txt lion lion tiger tiger bear bear user@user-virtual-machine:~$ sort -u animal.txt bear lion.. 2023. 3. 21. 파일의 줄 수, 단어 수, 바이트 수 - 리눅스 wc 명령어 리눅스 wc 명령어는 파일의 줄 수, 단어 수, 바이트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옵션 없이 사용하면 줄 수, 단어 수, 바이트 수 순서로 화면에 출력이 되고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옵션을 사용해서 확인을 합니다. 옵션 없이 사용 user@user-virtual-machine:~$ wc movie.txt 16 42 245 movie.txt 줄 수 확인 user@user-virtual-machine:~$ wc -l movie.txt 16 movie.txt 단어 수 확인 user@user-virtual-machine:~$ wc -w movie.txt 42 movie.txt 바이트 수 확인 user@user-virtual-machine:~$ wc -c movie.txt 245 movie.txt 문자 수 .. 2023. 3. 20. 파일 내용의 시작과 끝 출력 - 리눅스 head, tail 명령어 Linux 운영 체제에서는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하여 파일의 내용을 조작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head와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는데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head와 tail 명령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ead 명령어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시작 부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주로 큰 파일에서 처음 몇 줄을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ead [옵션] [파일명] 옵션을 사용하여 보여줄 줄의 수, 파일의 형식 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ad -n 10 file.txt 명령어는 file.txt 파일의 처음 10줄을 출력합니다. tail 명령어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끝 부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2023. 3. 20. 파일 내용을 역순으로 출력 - 리눅스 tac 명령어 리눅스 tac 명령어는 cat 명령어와는 반대로 파일 내용을 역순으로 출력해서 볼 수 있습니다. 이전에 사용했던 명령어를 보고 싶을 때 history 명령어를 사용하는 데 사용했던 명령어가 많아서 스크롤을 해야 되는 경우 tac 명령어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tac user@user-virtual-machine:~$ cat color.txt red blue yellow user@user-virtual-machine:~$ cat number.txt one two three user@user-virtual-machine:~$ tac color.txt yellow blue red user@user-virtual-machine:~$ tac number.txt three two one user@us.. 2023. 3. 20. 파일의 내용 확인을 편리하게 하기 - 리눅스 less 명령어 리눅스 less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이 있습니다. 내용이 너무 많을 때 화면에 보이는 만큼의 페이지 단위로 보거나 한 줄씩 내려가면서 볼 수 있고 단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사용법 less 1. space 또는 f를 누르면 다음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볼 수 있고 b를 누르면 이전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볼 수 있습니다. 2. Enter 또는 아래 화살표 방향키를 누르면 한 줄씩 내려가면서 볼 수 있습니다. 3. /찾을 단어 형식으로 입력해서 단어를 찾을 수 있습니다. 4. q 버튼을 누르면 파일 내용 확인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2023. 3. 19. 화면에 파일 내용 출력하기 - 리눅스 cat 명령어 리눅스 cat 명령어는 화면에 파일의 내용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을 하나만 입력하면 하나만 출력해 주고 2개 이상의 파일을 입력하면 파일의 내용들을 결합해서 보여줍니다. 사용법 cat ser@user-virtual-machine:~$ touch hello.txt user@user-virtual-machine:~$ echo hello > hello.txt user@user-virtual-machine:~$ cat hello.txt hello user@user-virtual-machine:~$ touch world.txt ser@user-virtual-machine:~$ echo world > world.txt user@user-virtual-machine:~$ cat world.txt world.. 2023. 3. 18. history 명령어 history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한 명령어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통해 쉘에서 사용한 명령어들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istory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최근에 사용한 명령어부터 출력되며, 이력에는 고유한 번호가 부여됩니다. 사용법 history 명령어의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history 1 ls 2 cd Documents/ 3 mkdir test 4 echo "Hello, world!" 5 history 위 예시에서는 ls, cd, mkdir, echo, history 명령어들이 사용된 이력이 출력됩니다. 첫 번째 열은 각 명령어에 대한 고유한 번호이며, 두 번째 열부터는 실제로 입력된 명령어입니다. history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쉘에서 사용한 모든.. 2023. 2. 26.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