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875

자바스크립트 호이스팅(Hoisting) 자바스크립트에서 var 키워드를 사용해서 변수를 선언하거나 함수를 선언하면 호이스팅 현상이 발생합니다. 호이스팅 현상은 변수에 값을 할당하지 않고 선언된 코드만을 최상단으로 옮겨주고 함수의 선언을 메모리에 미리 할당합니다. 호이스팅 현상 console.log(a); // undefined console.log(b); // 에러 console.log(c); // 에러 var a = "a"; let b = "b"; const c = "c"; f(20); function f(age) { console.log("제 나이는 " + age + "입니다."); // 제 나이는 20입니다. } var 키워드를 사용해서 변수를 선언하면 undefined 값이 초기화되지만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해서 변수를 선언.. 2023. 4. 3.
var const let 차이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var, const, let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3개의 키워드는 변수를 재선언 가능한지, 변수에 데이터를 재할당 가능한지, 변수의 범위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변수의 선언 var a; var a; let b; let b; // 에러 const c; const c; // 에러 var 키워드를 사용하면 변수를 재선언 할 수 있고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변수의 값 할당 var a = "a"; a = "aa"; let b = "b"; b = "bb"; const c = "c"; c = "cc"; // 에러 var, let 키워드를 사용하면 변수에 값을 재할당 할 수 있고 const 키워드는 상수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변수.. 2023. 4. 3.
자바스크립트 변수 선언 규칙 자바스크립트로 변수를 선언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규칙이나 관례로 자주 쓰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칙은 일단 정해진 예약어와 중복되지 않게 조심해야 하고 변수명에 공백이 들어가면 안 되고 중간에-기호를 사용하면 안 되고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됩니다. 그리고 관례로 자주 쓰이는 방법은 카멜 케이스가 주로 사용됩니다. 카멜 케이스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연결될 때 두 번째 단어부터 첫 문자를 대문자로 쓰는 것입니다. 금지된 규칙 let 1hello='hello' let hello-world='hello' let hello world='hello' 예약어 예약어는 문법을 사용하기 위해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자주 쓰이는 관례 let currentDate='.. 2023. 4. 3.
티스토리 단축키 사용하는 방법 블로그에 글을 작성할 때 마우스로만 클릭해서 메뉴를 적용하면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손목이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 단축키를 사용해서 글 쓰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효율성을 높여서 편안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메인 단축키 Q : 관리자 모드 / 메인 페이지 이동 A : 이전 글 이동 S : 다음 글 이동 글쓰기 단축키 Ctrl + B : 굵게 Ctrl + I : 기울임꼴 Ctrl + U : 밑줄 Ctrl + Alt + J : 취소선 Ctrl + Alt + [ : 글자색 Ctrl + Alt + ] : 배경색 Ctrl + Alt + T : 서체 변경 Ctrl + Alt + 1 : 제목 변경 Ctrl + Alt + 2 : 본문 변경 Ctrl + Alt + 3 : 인용 변경 Ctrl + Alt + 4 : .. 2023. 4. 2.
키보드 이상하게 입력될 때 해결 방법(자음 모음 따로 입력) 키보드를 사용하다가 키를 잘 못 눌러서 자음 모음이 따로 입력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윈도우 버튼 + V 키를 누르면 정상적으로 입력이 되고 윈도우 버튼 + H 키를 누르면 자음 모음이 따로 입력됩니다. 사용법 윈도우 버튼 + H키가 눌렸을 때 결과입니다. 윈도우 버튼 + V키가 눌렸을 때 결과입니다. 2023. 4. 1.
리눅스 locate 명령어 사용 방법 리눅스 locate 명령어는 파일의 경로를 찾아주는 명령어입니다. 데이터베이스 파일로 파일의 정보들을 관리하며, 만약에 파일이 삭제가 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실제 파일의 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locate 파일 이름을 대소문자 정확히 입력해야 찾습니다. locate -i 대소문자 구분 없이 찾습니다. locate -l 원하는 개수만큼 찾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locate ??? 파일 이름에 ? 개수만큼 글자 수 추가해서 해당되는 파일을 찾습니다. locate * 파일이름으로 시작되는 파일을 찾습니다. locate -e 파일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유무를 확인합니다. sudo updatedb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업데이트 합니다. 2023. 3. 31.
CSS 미디어 쿼리 (Media Query) 미디어 쿼리(Media Query)는 CSS의 기능 중 하나로, 화면의 크기, 장치의 방향, 해상도 등과 같은 미디어에 대한 쿼리를 수행하여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미디어 쿼리를 사용하면 각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적용하거나, 반응형 웹 디자인을 구현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화면이 작아지므로 폰트 크기를 줄이거나 레이아웃을 바꾸는 등의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미디어 쿼리는 @media 규칙으로 시작하며, screen, print, speech와 같은 미디어 유형에 따라 규칙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and, not, only와 같은 논리 연산자를 사용하여 조건을 결합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 768px 이하일 때 */ @media screen .. 2023. 3. 30.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 방법 리눅스의 tee명령어는 입력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하면서도 출력을 계속해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사용법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면 그 결과는 터미널에 출력됩니다. 하지만, tee 명령어를 사용하면 출력 결과를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출력 결과가 output.txt 파일에 저장됩니다. $ ls | tee output.txt 또한, tee 명령어는 -a 옵션을 추가하면 파일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출력 결과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ls | tee -a output.txt 또한, tee 명령어는 파일이 아니라 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된 명령어의 출력을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ls 명령어의 출력.. 2023.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