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09

git restore로 수정사항 취소하기 git restore "파일명" 명령어를 사용하면 수정한 내용이 취소되면서 최신 커밋 내용으로 복구된다. git restore --source HEAD~"숫자" "파일명" 명령어를 사용하면 HEAD를 기준으로 원하는 커밋을 선택해서 해당 내용으로 변경할 수 있는데 HEAD가 같이 이동하는 건 아니고 내용만 변경이 된다. 그리고 git restore --source "commit-head" "파일명" 명령어를 사용해도 똑같은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내용 추가 및 커밋 내용 수정 및 복구 결론 git checkout 명령어로 수정사항을 취소하는 것보다 git restore 명령어로 하는 게 훨씬 더 직관적이고 기억하기가 편하기 때문에 git restore 명령어를 사용하는 게 더 좋은 것 같다. 2023. 2. 5.
git checkout 으로 변경사항 폐기하기 git checkout HEAD "파일명" 명령어 또는 git checkout -- "파일명" 명령어로 스테이징 되지 않은 상태의 변경사항을 폐기할 수 있다. 파일을 여러 군데 수정하다가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려고 할 때 사용하면 어디를 수정했었는지 기억할 필요 없이 수정전 상태로 돌아가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ctrl + z 명령어를 사용해서 되돌릴 수도 있겠지만 여러 번 눌러서 돌아가는 것보다 한 번의 명령어로 돌아가는 게 좋을 것 같다. 파일 생성 및 숫자 추가 git checkout 으로 변경사항 폐기하기 git checkout HEAD "파일명" 명령어 또는 git checkout -- "파일명" 명령어를 사용해서 a,b,c를 폐기했다. 2023. 2. 4.
git checkout HEAD 명령어로 이전 커밋 참조하기 git checkout HEAD~"숫자" 명령어를 입력하면 숫자에 따라서 HEAD 포인터가 있는 위치로부터 얼마나 되돌아갈 것인지를 정할 수 있다. 명령어를 사용하기 전에 HEAD 포인터가 어디에 있는지를 git log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하고 사용해야 헤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git checkout "commit-head" 명령어와 기능은 같아서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다. git checkout HEAD 명령어 이동방법1 git checkout HEAD 명령어 이동방법2 결론 가까운 시점으로 이동할 때는 git checkout HEAD~"숫자" 명령어를 사용하는 게 "commit-head"를 복사 붙여넣기 할 필요가 없어서 좋은 것 같고 너무 멀리 떨어진 시점으로 이동할 때는.. 2023. 2. 3.
git checkout 이전 커밋 확인하기 git checkout "commit-hash"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commit 시점으로 이동해서 작업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master 브랜치를 가리키고 있었던 HEAD가 commit 시점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HEAD를 기준으로 현재 작업내용을 보고있다고 생각하면 쉬울것 같다. git checkout 이전 커밋 확인하기 git checkout "commit-hash" 명령어를 사용해서 원하는 커밋 시점으로 이동을 했고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해서 홀수를 추가했다. 이동을 해서 작업 내용을 보기만 하고 원래의 브랜치로 복귀를 해도 되고 해당 시점으로부터 새로운 작업을 시작할 수 있어서 유용한 명령어인 것 같다. 참고로 커밋 시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detached HEAD라고 표현을 한다. 2023. 2. 2.
git stash 삭제 git stash 삭제 명령어로 저장된 작업 목록들이 필요가 없을 때 git stash drop stash@{"숫자"} 명령어로 하나씩 삭제할 수 있고 git stash clear 명령어로 모든 작업 목록들을 삭제할 수 있다. git stash 삭제 2023. 2. 1.
여러 개의 스태시로 작업하기 git stash 명령어로 여러 개의 작업 내용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한 작업 내용을 선택해서 불러오기를 할 수 있다. 자주 쓰이지는 않겠지만 알아두면 유용할 것 같다. 여러 개의 스태시로 작업하기 git stash로 저장한 작업 목록을 git stash list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고 git stash apply @{"번호"} 명령어로 원하는 작업 내용을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다. 저장되는 순서는 스택 구조라서 0->three 1->two 2->one로 저장이 된다. 원하는 작업 내용을 가져온 상태에서 다른 작업 내용을 불러오면 충돌이 발생하니 이전 내용을 지우고 다시 불러와야 된다. 2023. 1. 31.
git stash 명령어 git stash 명령어를 사용하면 작업 중인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브랜치에서 작업을 하다가 급하게 다른 브랜치로 가서 봐야 할 때 git stash 명령어로 저장을 해놓고 이동해서 처리한 후에 다시 돌아와서 git stash apply 또는 git stash pop 명령어로 작업 내용을 불러와서 작업할 수 있다. git stash 명령어 git stash로 작업 상태를 저장한 후에 다른 브랜치에서도 git stash apply 명령어로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다. git stash pop 명령어로 불러와서 사용하면 사용한 브랜치에 적용이 되고 나서 사라져 버린다. 즉 한 번만 사용하고 버릴 거면 git stash pop 명령어를 사용하고 계속 재활용하려면 git stash apply 명령어를 사용하면.. 2023. 1. 30.
git diff 명령어로 commit 비교하기 git diff "commit1".."commit2" 또는 git diff "commit1" "commit2" 명령어로 commit에 따라 파일을 비교할 수 있다. commit의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 git diff 명령어로 commit 비교하기 git diff "commit1".."commit2" 또는 git diff "commit1" "commit2" 취향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다. 2023.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