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875

Cross-site Scripting (XSS)란?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보안 취약점 중 하나로, 공격자가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게 하는 공격입니다. XSS의 개념, 공격 유형, 예방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XSS의 종류 저장형 XSS(Stored XSS): 악성 스크립트가 서버에 저장되어 다른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를 요청할 때 실행됩니다. 주로 게시판, 댓글 등에서 발생합니다. 반사형 XSS(Reflected XSS):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가 즉시 서버로 전달되어 해당 응답에 악성 스크립트가 포함되어 반환됩니다. 주로 검색어, 링크 공유 등에서 발생합니다. DOM 기반 XSS(DOM-based XSS): 웹 페이지의 DOM(Document Object Model) .. 2023. 5. 21.
Multer: Node.js 파일 업로드를 위한 미들웨어 Multer는 Node.js에서 파일 업로드를 처리하기 위한 미들웨어입니다. Multer의 개념, 기능, 사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파일 업로드의 처리 과정을 이해해보겠습니다. Multer란? Multer는 Node.js에서 파일 업로드를 처리하기 위한 미들웨어로, Express 프레임워크와 함께 사용됩니다. Multer는 HTTP 요청의 본문에 포함된 파일을 해석하고 서버로 업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파일 업로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멀티파트(form-data) 형식의 데이터를 다룰 수 있으며, 업로드된 파일의 저장 경로나 파일명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Multer의 사용법 Multe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Multer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npm install.. 2023. 5. 20.
geoJSON: 지리 데이터의 표준 형식 geoJSON은 지리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표준 형식입니다. 이 형식은 지리적인 요소를 기하학적인 형태로 표현하고, 관련 속성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geoJSON의 개념과 구성 요소, 활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geoJSON이란? geo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JSON) 형식을 사용하여 지리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 형식은 지리적인 요소를 점(Point), 선(Line), 다각형(Polygon) 등의 기하학적인 형태로 표현하며, 속성 정보를 포함하여 지리 데이터를 완전히 기술할 수 있습니다. geoJSON은 경량화되어 있어 데이터 크기가 작고, 다양한 지리 정보 시스템(GIS) 및 웹 기술과 호환됩니다. geoJSON의.. 2023. 5. 19.
지오코딩(Geocoding):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는 기술 지오코딩(Geocoding)은 주소 정보를 좌표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주소 기반 서비스에서 주소를 이용하여 지도 상의 좌표를 찾거나, 역으로 좌표를 주소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지오코딩의 개념과 동작 방식, 그리고 활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오코딩이란? 지오코딩은 지리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주소나 장소 이름을 좌표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주소 기반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를 지오코딩을 통해 좌표로 변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위치를 표시하거나 다양한 정보와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반대로 좌표를 주소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좌표를 입력하고 지오코딩을 통해 해당 좌표에 대응하는 주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지오코딩의 동작 방식 지오코딩은 다양한 방식.. 2023. 5. 18.
JWT(JSON Web Token)란? JWT는 JSON Web Token의 약자로, 웹 애플리케이션 간에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입니다. JWT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인증과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 토큰은 JSON 형식으로 인코딩되어 있으며, 서명이나 암호화를 통해 검증됩니다. JWT 구성요소 JWT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헤더(Header): JWT의 유형과 서명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부분입니다. 헤더는 JSON 형식으로 표현되며, 일반적으로는 토큰의 유형(JWT)과 사용된 알고리즘(HS256, RS256 등)을 지정합니다. 페이로드(Payload): JWT에 포함될 클레임(claim) 정보를 담고 있는 부분입니다. 클레임은 토큰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 토큰의 수신자, 토큰의 만료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 2023. 5. 16.
HTTP 세션(Session) 이란? HTTP 세션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입니다. HTTP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Stateless 프로토콜이므로, 웹 서버는 각 요청을 독립적으로 처리합니다. 그러나 많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 장바구니 내역 등과 같은 정보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세션을 사용하여 상태 정보를 보관하고 관리합니다. HTTP 세션 동작원리 HTTP 세션은 다음과 같은 원리로 동작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접속하면 세션 ID가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됩니다. 세션 ID는 일반적으로 쿠키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 저장됩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마다, 클라이언트의 세션 ID가 요청과 함께 서버로 전송됩니다. 이를 통해 서버는 클.. 2023. 5. 15.
HTTP 쿠키(HTTP cookie)란? HTTP 쿠키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상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은 데이터 조각입니다. 쿠키는 웹 브라우저에 저장되며,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마다 쿠키는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됩니다. 이를 통해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고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HTTP 쿠키는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세션 관리: 쿠키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세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 후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개인화: 쿠키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선호도, 설정, 방문 기록 등을 쿠키에 저장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추적 및 분석: 쿠키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활.. 2023. 5. 14.
BSON(Binary JSON)이란? BSON은 Binary JSON의 약어로, MongoDB에서 사용되는 이진 형식의 데이터 인코딩 방식입니다. BSON은 JSON과 유사한 문서 형식이지만, 이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질의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MongoDB는 BSON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며, BSON은 MongoDB의 핵심 컴포넌트입니다. BSON은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지원합니다. 숫자, 문자열, 불리언, 배열, 객체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BSON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BSON은 데이터 유형을 나타내는 타입 필드와 데이터 자체를 이진 형식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BSON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효율성입니다. BSON은 이진 형식이므로 JSON에 비해 저장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 2023.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