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875 MongoDB란? MongoDB는 NoSQL 데이터베이스로 분류되는 도큐먼트 지향 데이터베이스입니다. MongoDB는 JSON과 비슷한 형식인 BSON(Binary JSON)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질의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MongoDB는 유연하고 확장성이 뛰어나며, 대량의 비정형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적합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MongoDB는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는 다른 데이터 모델을 사용합니다. 데이터는 컬렉션(Collection)에 저장되며, 각 컬렉션은 여러 개의 도큐먼트(Document)로 구성됩니다. 도큐먼트는 필드-값 쌍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JSON과 유사한 구조를 가집니다. 도큐먼트는 동적인 스키마를 가지므로, 필드 및 구조의 변경이 자유롭습니다. MongoDB의 주요 특징 중 하나.. 2023. 5. 11.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란? UUID는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의 약어로, 범용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128비트 숫자입니다. UUID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값을 생성하며, 다른 시스템이나 서비스 간에 충돌 없이 식별자를 공유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UUID는 랜덤성과 유일성을 결합한 값으로, 주로 소프트웨어에서 고유한 식별자가 필요한 경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식별자, 세션 식별자, 파일 이름, 객체 식별자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UUID는 보통 16진수로 표현되며, 32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식의 UUID를 볼 수 있습니다: "550e8400-e29b-41d4-a716-446655440000". 이러한 UUI.. 2023. 5. 10. OAuth(Open Authorization)란? OAuth는 Open Authorization의 약어로, 사용자의 인증 및 인가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웹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간에 API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인증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에서 자신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OAuth는 보안을 유지하면서 웹 애플리케이션과 API 서버 사이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OAuth는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 정보(이메일 주소 및 비밀번호)를 직접 공유하지 않아도 인증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대신, OAuth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가 포함된 인증 토큰을 발급하고, 이를 사용하여 API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OAuth는 일반적으로.. 2023. 5. 9.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란?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는 웹 서비스를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입니다. RESTful API 또는 REST API라고도 불립니다. RESTful API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르며, 각각의 요청이 클라이언트 정보와 서버 정보를 포함합니다. REST API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자원(Resource)을 HTTP URI로 정의하고 HTTP Method를 통해 자원에 대한 행위(조회, 생성, 수정, 삭제)를 정의합니다. REST API는 다른 아키텍처와 비교하여 장점이 많습니다. 첫째, 간결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URI와 HTTP Method만으로 요청을 처리할 수 있어, 단순하면서도 확장성이 높은 API를 만들 수 있습니.. 2023. 5. 8. node.js ejs 사용법 Node.js는 서버 사이드 자바스크립트를 구현할 수 있는 도구이며, EJS는 Node.js에서 사용되는 템플릿 엔진 중 하나입니다. EJS는 Embedded JavaScript Templates의 약어로, HTML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어 웹 개발에 효과적입니다. EJS는 HTML과 유사한 문법을 사용합니다. HTML 템플릿 안에 와 같은 EJS 태그를 사용하여 서버 측 로직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EJS는 JavaScript 코드를 사용하여 동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드에서 동일한 코드를 사용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가 용이합니다. 사용법 EJS를 사용하면 변수를 선언하고, 조건문과 반복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HTML 코드를 반복적으로 작성하지 않고도 동.. 2023. 5. 7. 리눅스(linux) cron 이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cron(cron daemon)이라는 스케줄링 도구를 제공합니다. cron은 정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스케줄링하고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마다 백업을 수행하거나, 매일 특정 시간에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등의 작업을 cron으로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ron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ron 동작 원리 cron은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일련의 작업을 시스템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작업들은 crontab 파일에 기록되며, 이 파일은 cron에 의해 주기적으로 읽혀지고 실행됩니다. 각각의 작업은 cron이 정의된 일정에 따라 실행됩니다. crontab 파일 crontab은 cron table의 약자로, cro.. 2023. 5. 6. 리눅스 PATH 환경 변수 설정 방법 리눅스에서 PATH(환경 변수)는 실행 파일이나 명령어를 찾는 경로를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가 어디에서 실행 파일을 찾아야 하는지를 정의하며, 이를 통해 터미널에서 해당 명령을 직접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PATH는 쉘의 환경 변수 중 하나이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어떻게 실행되는지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변수는 실행 가능한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쉼표로 구분된 문자열의 목록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쉘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검색하고, PATH에 지정된 디렉토리를 순서대로 확인하여 실행 가능한 파일을 찾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ls' 명령을 실행하면 쉘은 PATH에 지정된 디렉토리를 검색하여 'ls'가 실행 가능한 파일인지 확인합.. 2023. 5. 5. 리눅스 .bash_aliases 파일 리눅스에서 .bash_aliases 파일은 사용자 정의 명령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사용하면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나 긴 명령어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은 Bash 쉘에서만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위치합니다. .bash_aliases 파일은 일반적으로 명령어의 별칭(alias)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별칭은 명령어의 축약어로, 긴 명령어를 단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ls -l" 명령어 대신 "ll"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별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사용법 alias 별칭='명령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bash_aliases 파일에 별칭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alias ll='ls -alF' al.. 2023. 5. 5. 이전 1 ··· 78 79 80 81 82 83 84 ··· 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