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875

리눅스 alias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 명령어 중 alias는 명령어를 다른 이름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alias를 사용하면 명령어를 더 쉽게 입력하거나 기존 명령어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alias는 별도의 옵션 없이 'alias' 명령어와 함께 등록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새로운 이름을 지정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ll' 명령어는 'ls -alF' 명령어를 대체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를 alias로 등록하면 'alias ll="ls -alF"'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alias 명령어는 현재 세션에서만 적용되므로 재시작하면 등록한 alias는 모두 사라집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셸 설정 파일에 alias를 등록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bash의 경우, '~/.bashrc' 파일에 alias를 등록하면.. 2023. 5. 4.
리눅스 PS1 변수로 프롬프트 설정법 리눅스에서 PS1 변수는 쉘 프롬프트(prompt)의 모양을 결정하는 환경 변수입니다. 즉, PS1 변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때 보여지는 커서의 모양, 쉘의 이름, 현재 디렉토리,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S1 변수는 bash 쉘에서 사용되며, 기본값은 "\u@\h:\w$"입니다. 이 기본값은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이름(@), 호스트명(h), 현재 디렉토리(w)와 $ 표시(명령 프롬프트)를 나타냅니다. PS1 변수를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시적으로 변경하기 PS1 변수를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은 export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PS1 변수 값을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export PS1="[\\u@\\h \\W]\\$ " 이.. 2023. 5. 4.
리눅스 export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에서 export 명령어는 현재 쉘에서 사용 가능한 환경 변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환경 변수는 쉘에서 사용하는 값으로, 주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설정 값, 경로,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합니다. export 명령어는 기존에 존재하는 변수를 환경 변수로 만들거나, 새로운 변수를 만들어 환경 변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expor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사용법 export 변수명=값 위 명령어는 변수명에 지정된 이름으로 값을 저장하는 새로운 환경 변수를 만듭니다. 만약 기존에 존재하는 변수에 대해서는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음과 같이 변수명만 사용하여 변수의 값을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echo $변수명 리눅스에서는 환경 변수를 매우 많이 사용하며.. 2023. 5. 3.
리눅스 printenv 명령어 printenv는 환경 변수를 출력하는 리눅스 명령어입니다. 환경 변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변수로,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printenv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에서 설정된 환경 변수의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rintenv 명령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printenv 명령어 사용법 printenv 명령어는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printenv [옵션] [환경변수 이름] 옵션은 출력 형식을 지정하는 옵션인데, -0, -u, -i, -v 등이 있습니다. 보통은 옵션 없이 환경 변수 이름만 지정해서 출력합니다. 다음은 printenv 명령어를 사용하여 환경 변수 PATH 값을 출력하는 예시입니다. $ printenv PAT.. 2023. 5. 3.
리눅스(linux) root란? 리눅스에서 root는 시스템에서 최상위 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계정입니다. root 계정은 일반 사용자보다 더 많은 권한을 가지기 때문에 시스템 설정 변경, 사용자 관리, 파일 시스템 액세스 등을 할 수 있습니다. root 계정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설치시 자동으로 생성되며, 사용자가 새로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root 계정은 일반 계정보다 더욱 강력하기 때문에 조심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리눅스에서 root 계정은 다른 사용자 계정과는 다르게 UID(User Identifier)가 0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UID가 0인 계정은 시스템에서 항상 하나만 존재해야 하며, 이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최상위 권한으로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것은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시.. 2023. 5. 3.
리눅스 sudo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인 sudo는 superuser(do)의 줄임말로, 일반 사용자가 root(superuser) 권한을 가진 사용자와 같은 권한으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일반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의 리소스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root 권한은 시스템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작업에서는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sudo를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root 권한을 부여받아 원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sudo 명령어 사용법 sudo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udo [옵션] [명령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apt-get update 명령어를.. 2023. 5. 2.
리눅스 su 명령어 사용방법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는 일반적으로 root 계정이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며, 일반 사용자는 제한된 권한으로 작업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root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su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사용자의 권한을 일시적으로 root 권한으로 변경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su는 "super user"를 의미하며, 일반 사용자가 root 권한으로 로그인하도록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su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사용자 계정에서 root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su 명령어를 실행하면 기본적으로 root 계정으로 전환됩니다. 그러나 su 뒤에 다른 사용자 이름을 지정하면 해당 사용자의 권한으로 전환됩니다. 예를 들어, .. 2023. 5. 1.
Node.js nodemon Node.js는 코드 수정 시 자동으로 서버를 재시작해주는 nodemon이라는 모듈을 제공합니다. nodemon은 Node.j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주며 코드 수정 시 변경된 내용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서버를 재시작해줍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코드 수정 후 매번 수동으로 서버를 재시작할 필요가 없어져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nodemon 설치 nodemon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npm install -g nodemon nodemon 실행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nodemon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nodemon [파일 경로] 이렇게 실행하면 nodemon은 파일 경로의 Node.j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코드 수정 시 자동으로 서버를 재시작해줍니다.. 2023. 5. 1.